◀ 수도지맥(修道支脈) ▶
1. 수도지맥(修道支脈)이란?
백두대간이 전북 무주군과 경북 김천군과 경남 거창군등 삼도가 만나는 대덕산(大德山 1,290.9m) 남쪽의 삼도봉
(일명 초점산.1250m)에서 남쪽으로 300여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가지를 쳐 내려가며 경상남,
북 도계를 따라 봉산(902m),수도산(1317m),단지봉(1,326.7m),좌일곡령(1257.6m)을 지나 가야산을 목전에 두
고 두리봉(1133m)에서 도계를 벗어나 남쪽으로 거창군과 합천군경계를 따라 남산(1113m),마령(1006.5m),우두
산(의상봉.1046.2m),비계산(1130m),88고속도로,두무산(1038.4m),오도산(1120m)등 1000m이상의 장쾌한 능선
이 60여km 이어진다. 오도산에서 거창군과는 작별을하고 온전한 합천땅으로 들어서며 고도를 낮춰 토곡산(644
m)를 지나면 다시 경상남,북도계를 만나 고령군과 합천군계를 따라 만대산(688m),시리봉(408m)을 지나 솜등산
(271m)에 올라선 도계능선과는 작별을하고 마지막 여력으로 필봉(330m), 부수봉(317m),성산(205.7m)을 내려
서며 맥을 다한다.
수도지맥은 백두대간 삼도봉(초점산)에서 동남쪽으로 가지를 쳐 합천군 청덕면 삼학리
황강에서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103.5km의 산줄기다. 산줄기상의 봉우리는 국사봉, 봉산, 수도산, 단지봉, 두리봉, 남산, 우두산,
비학산, 두무산, 오도산, 토곡산, 만대산, 노태산, 시리봉, 솜등산, 부수봉, 필봉, 성산 등이며, 산줄기가 가두는
물줄기는 북동쪽의 대가천, 감천, 추계천, 복하천, 양화천, 가야천, 안림천 등이 있고, 남쪽의 황강(황강천,
계수천, 좌가천,석가천, 합천천 등)이 흐른다.
수도지맥 산경도
2. 수도지맥의 주요 산들
삼도봉(1249m), 국사봉(875.1m), 봉산(901.6m), 수도산(1317.1m), 단지봉(1326.7m), 좌일곡령(1257.6m)
두리봉(1135m), 남산(1112.9m), 우두산(1046.3m), 비학산(1125.7m), 두무산(1036m), 오도산(1120m),
토곡산(644m), 만대산(688.7m), 노태산(498m), 시리봉(408m), 솜등산(269m), 부수봉(333m), 필봉(261m)
성산(250.7m)
3. 수도지맥 전 구간 경로
덕산재(30번국도→대덕산(1290.9m)→삼도봉(1249m)→수도지맥분기점→땀때기고개→국사봉(875.1m)
→3번국도→봉산(901.6m)→우두령(1099번지방도)→수도산(1317.1m)→송곡령→단지봉(1326.7m)→
좌일곡령(1257.6m)→목통령→불기령→두리봉(1135m)→남산(1112.9m)→장구재→마령(1004m)→큰재
→우두산(1046.3m)→말목재→비학산(1125.7m)→산현재(59번국도)→두무산(1036m)→오도산(1120m)
→싸리터재(24번, 26번국도)→상두재→마령재→24번국도→토곡산(644m)→매화재→만대산(688.7m)→
노태산(498m)→지릿재(33번국도)→시리봉(408m)→장승재→기미재(907번지방도)→솜등산(269m)→
1034번지방도→부수봉(333m)→필봉(261m)→성산(250.7m)→황강
4. 수도지맥 구간별 개념도
'♠주요16지맥 (80km이상)♠ > 수도지맥(完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지맥 5구간 마령재-기미재 (0) | 2020.02.12 |
---|---|
수도지맥 4구간 산제치-마령재 (0) | 2020.02.04 |
수도지맥 3구간 장자동고개-산제치 (0) | 2020.01.14 |
수도지맥 2구간 우두령-장자동고개 (0) | 2020.01.07 |
수도지맥 1구간 분기점(초점산)-우두령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