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재준공인중개사사무소 입니다. 부동산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남겨주세요... 010-8239-3500
  • 부평구 청천1동 행정복지센터앞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재개발 입주권/분양권, 아파트,빌라,원룸,상가,공장,토지등 다양한 물건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대한 모든 궁금한 내용을
♠부동산 법과 세금♠/부동산 기초 공부

임차인 사망 시 월세계약 어떻게 될까?

by 재주니 2016. 1. 27.


임차인이 사망하면 임대차 계약이 자동적으로 해지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계약의 당사자 한 쪽이 이행 불능 상태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세는 계속 내야 한 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임차인 사망 후 한 달 이내에만 통지하면 계약이 해지된다는 말도 있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 과연 법에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 사례1
혼자 방을 얻어 사시던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 가셨다. 그런데 집주인은 다음 사람이 들어올 때까지 계속 월세를 내라고 한다. 아니 임대차 계약의 한 쪽 당사자가 죽으면 이 계약은 자동으로 해지되는 것 아닌가? 그래서 더 이상 월세 낼 의무도 없고 보증금도 돌려 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

임차인 사망은 해지 사유가 아니다

계약을 해지하려면 당사자간 합의가 있거나, 아니면 법률에 해지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어야 한다. (민법 제543조 제1항) 그런데 우리 민법에는 임차인이 죽으면 계약이 해지된다는 조항이 없다.

그런데 비슷한 조항은 있다. 사용대차에서 차주(빌린 사람)이 죽으면 대주(빌려준 사람)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했지만(민법 제614조) 막상 임대차에 준용되는 규정은 아니다(민법 제654조). 이렇게 임차인 사망을 해지 사유로 보지 않는 것은, 임대차 대상이 되는 집이나 가게는 생활의 터전이 되기 때문에, 임대인이 일방적으로 해지할 수 없도록 한 것으로 생각된다.

민법 제543조(해지, 해제권)
계약 또는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사자의 일방이나 쌍방이 해지 또는 해제의 권리가 있는 때에는 그 해지 또는 해제는 상대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

민법 제614조(차주의 사망, 파산과 해지)
차주가 사망하거나 파산선고를 받은 때에는 대주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민법 제654조(준용규정)
제610조제1항, 제615조 내지 제617조의 규정은 임대차에 이를 준용한다.

따라서 임차인이 사망했다고 해서 임차인의 가족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돌아가신 다음 한 달 이내에는 해지할 수 있다는 말이 있던데요,
그럼 틀린 말인가요?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 경우에는 해당이 안 된다. 다음 사례를 보자.

# 사례2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남녀가 방을 얻어 살던 중 임차인이 사망했다. 임대인은 임차인의 동거인에게 이 집에서 계속 살려면 그 동안 밀린 월세를 내라고 한다. 그런데 동거인이 따져보니 밀린 월세가 보증금 보다 훨씬 많다. 어차피 이 집에서 빨리 나가고 싶은데, 임대인은 밀린 월세를 다 갚아야 계약을 해지해 주겠다고 나온다.

이 경우 임차인의 동거인은 밀린 월세를 갚지 않고도 나올 수 있다. 임차인 사망일로부터 한 달 이내에 임대인에게 그렇게 하겠다고 통지하면 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9조 제3항)

임차권 승계를 한 달 이내에 포기할 수 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는 임차인이 사망하더라도 상속인들이 계속해서 그 집에 살 수 있게 해주는 임차권 승계 조항을 두고 있다. 이 때 사실혼 관계에 있는 동거인에게도 역시 승계권을 준다. (동법 제9조 제1~2항)

그런데 사례2와 같이 밀린 월세가 보증금보다 많아 임차권을 승계하는 것이 상속인 등에게 오히려 불리한 경우에는 승계를 포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사망일로부터 한 달 이내에 임대인에게 이 포기 의사를 알려주어야 한다.

제9조(주택 임차권의 승계)

임차인이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가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임차인이 사망한 때에 사망 당시 상속인이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와 2촌 이내의 친족이 공동으로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임차인이 사망한 후 1개월 이내에 임대인에게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승계 대상자가 반대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임대차 관계에서 생긴 채권ㆍ채무는 임차인의 권리의무를 승계한 자에게 귀속된다.

 

결국 임차인이 죽으면
한 달 이내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말이잖아요?

 

여기에서 오해하면 안 된다. 임차권 포기를 통해 계약을 해지할 수 있지만, 이 때는 받아나올 보증금도 포기하는 결과가 된다. 다시 말해 임차권 승계를 포기하는 것은 받아나올 보증금도 포기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례1처럼 받아나올 보증금이 있다면 임차권 포기를 하지 말고 승계를 주장해야 하며, 그 대신 월세를 계속 내야 할 의무도 부담하는 것이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9조 제4항)

받아나올 보증금이 있으면 임차권 승계를 받는 것이 유리하다

사망한 상속인 또는 사실혼 관계의 동거인 입장에서 임차권 승계를 한번 정리해보자.

▷ 받아나올 보증금이 있다면
   임차권을 승계 받고
   다음 임차인이 들어올 때까지 월세를 부담한다.

▷ 받아나올 보증금이 없다면
   임차권 승계를 포기한다는 통지를 1개월 이내에 하면
   보증금은 임대인에게 귀속되고, 월세 지급은 중지된다.

임대인의 동의가 있어야 해지할 수 있다

결국 임차인의 사망은 계약 해지 사유가 안 되며, 보증금을 받기 위해서는 임대인과 합의하에 다음 임차인을 구해 빼 나오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오피스텔 투자 시 유의할 사항들  (0) 2016.07.11
집주인은 세입자 집에 마음대로 들어가도 되나요  (0) 2016.06.15
임대시장 파이 커진 원룸ㆍ도시형생활주택, 이점 놓치면 낭패   (0) 2015.09.02
아파트 분양광고 '역세권' 진짜?  (0) 2015.08.24
법정계량단위 사용 안내문 (넓이 단위)  (0) 201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