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재준공인중개사사무소 입니다. 부동산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남겨주세요... 010-8239-3500
  • 부평구 청천1동 행정복지센터앞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재개발 입주권/분양권, 아파트,빌라,원룸,상가,공장,토지등 다양한 물건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대한 모든 궁금한 내용을
♠산행 이야기♠/산행코스와 등산지도

대구 팔공산 등산지도와 산행코스

by 재주니 2014. 11. 15.

 

팔공산[ ]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군위군 부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93m. 태백산맥의 보현산(, 1,124m)에서 서남쪽으로 화산(, 828m)·팔공산·가산(, 902m)으로 연결된

다. 팔공산을 중심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형성된 환상()의 산지는 이른바 팔공산맥이라 하는데 이것은

대구분지의 북부를 병풍처럼 가리고 있다. 이 산맥은 남동쪽의 초례봉(, 648m)에서 시작하여 환성산(, 811m)·

인봉(, 887m)을 거쳐 주봉인 팔공산, 북서부의 가산에 이른다.

또한, 팔공산은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과 서봉(西)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인봉에서

가산까지는 팔공산맥의 주형으로 길이가 약 20㎞에 이르며 등산가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산 자체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전체 배열이 주변의 구릉군과는 대조적으로 급경사진 종상의 산형을 이루어 있어 변화의

미가 한층 돋보인다. 지질은 주변에 넓게 분포한 경상계퇴적층() 중에 불국사화강암()이 섬처럼

고립되어 있다.이것은 경상계 누층군 중에 화강암이 관입하여 돔(dome)지형을 형성하고, 그 뒤 침식작용으로 상부의 퇴적

암은 제거되고 그 밑의 화강암이 노출되어 현재와 같은 지형이 된 것이다. 산의 북쪽에는 위천()의 상류인 남천()과

여러 계류들이 흐르고, 동쪽에는 한천()·신령천() 등이 흐른다. 이 산의 남쪽은 완만하여 응해산(, 526m)·

응봉(456m) 등의 구릉성 산지가 솟아 있고, 그 사이사이에 계류들이 남류하여 동화천()에 모여 금호강()으로

흘러든다. 그 밖에 동물 14종, 조류 26종, 식물 118과 464속 858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곡이 아름답고 산봉이 웅

자하며 부근에 많은 사적이 있어, 1980년 경상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팔공산의 옛 이름은 공산()·부악()이

라고 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중악()에 비겨 중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라 말에 견훤()이 서라벌을 공략할 때에 고려 태조가 5,000의 군사를 거느리고 정벌하러 나섰다가, 공산 동수()에

서 견훤을 만나 포위 당하였다. 그 때 신숭겸()이 태조로 가장하여 수레를 타고 적진에 뛰어들어 전사함으로써 태조

가 겨우 목숨을 구하였다. 이 때 신숭겸·김락() 등 8명의 장수가 모두 전사하여 팔공산이라 하였다 한다. 산 곳곳에 사찰

이 많은데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의 본산인 동화사()는 신라 때의 고찰로 임진왜란 때는 유정()이 승군을 지휘

하였던 곳이며, 동화사입구마애불좌상(보물 제243호)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또한 이 절은 팔공산 등산로의 거점이기도 하다. 절 가까이에는 간장병에 효험이 있다는 구세약수()가 있다. 영천

방면에 있는 은해사()에는 국보 제14호인 거조암영산전(殿)을 비롯하여 2점의 보물이 있다. 칠곡군에 있

는 송림사()는 신라 시대의 사찰로 보물 제189호인 오층전탑이 있다.

 

이 밖에 한때 고려대장경 판본을 소장하였던 부인사()를 비롯하여 파계사()·관암사() 등의 사찰이 있다.

또한 비로()·부도()·양진()·염불()·거조()·백흥()·운부()·묘봉()·중암()·내원() 등의

암자가 곳곳에 분포한다. 군위군 부계면에 있는 국보 제109호인 군위삼존석굴()은 제2석굴암이라 불린다. 사

적 216호인 가산산성()은 길이 약 600m의 석성으로 성 안에는 샘물이 솟으며 진달래와 억새풀이 아름답다. 또한

이곳에는 6·25의 격전지였던 다부동() 마을이 있다.

 

팔공산계곡에는 자연공원·대구시 교육원·야영장·팔공스카이라인이라는 승강기 시설 등이 있다. 1985년에는 동화사 입구에

서 파계사까지 8.2㎞의 순환도로가 포장, 완공됨으로써 교통이 원활하게 되어 시민들의 위락공간으로 크게 이용되고 있다.

교통편은 대구에서 동화사·파계사·갓바위 입구행 버스가 수시로 운행되며, 은해사와 군위삼존석굴로도 연결된다.

 

* 등산로

1. 동화사 - 염불암 - 철탑사거리 - 동봉 - 염불암 - 동화사 (3시간30분)
2. 수태골 - 암벽 - 철탑사거리 - 비로봉 - 동봉 - 염불암 - 동화사
3. 동화사 - 염불암 - 철탑사거리 - 석조약사여래불 - 동봉 - 염불봉 - 신령재 - 바른재 - 은혜봉 - 노적봉 - 관봉(갓바위) -

    관암사 - 유스호스텔 (7시간)

4. 파계사 - 파계재 - 파계봉 - 마당재 - 병풍재 - 서봉 - 비로봉(팔공산정상) - 동봉 - 동화사 (5시간30분)

5. 갓바위,관봉 : 유스호스텔 - 관암사 - 관봉 ,석가여래좌상 - 관봉 또는 노적봉 - 원점회귀....


* 동화사 원점회귀 코스 :

팔공산 하면 동화사, 동화사 하면 팔공산을 떠올릴 만큼 팔공산을 대표하는 사찰로, 팔공산을 처음 찾는 이들이 최우선으로

꼽는 기점이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코스는 동화사~염불암~동봉 왕복코스(3시간30분)지다.


* 동봉 최단등로 :

동봉으로 최단등로는 동화사 길과 팔공스카이라인 능선길을 꼽을 수 있다.
동화사 길은 염불암까지 약 2km 구간은 지루한 콘크리트길을 따라야한다는 점 때문에 주로 하산로로 이용하고, 팔공스카이

라인 길을 등로로 이용한다.  능선길 들머리인 탑골은 동화문매표소와 가까이 있지만 문화재관람료를 받지 않는다.

동봉 직전 삼거리에서 왼쪽 길은 마애약사여래좌상(대구 유형문화재 제3호)을 거쳐 서봉으로, 오른쪽 길은 석조약사여래입

상(제20호)이나 동봉으로 간다. 2시간 소요.

하산은 염불암을 거쳐 콘크리트길을 따라 동화사로 내려서거나 수태골을 거쳐 동화사~파계사 순환도로로 내려선다.
케이블카를 이용하면 30분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


* 수태골 코스 :

동화사 집단시절지구 버스종점에서 순환도로를 따라 1.5km 걸어가야 하는 불편함에도 대구산악인들 사이에서최고의 인기

를 누리는 산길이다.  대구 바위꾼들이 즐겨 찾아 바윗골이라고도 불리는 수태골은 고즈넉한 숲길이 이어지다 중단부의 기

암절벽 구간을 거쳐 동봉이나 서봉으로 이어진다. 2시간 소요.

하산은 염불암~동화사 길이나, 동봉~신령재 능선을 거쳐 폭포길을 따라 동화사로 내려선다.

* 갓바위 직등로 :

팔공산 동단에 위치한 갓바위부처(보물 제431호)는 높이 5.6m로, 신라 선덕여왕 때 의현대사가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해 조

성했다고 전한다. 특히 대학 입시철에는 한밤 중에도 가로등이 산길을 밝혀주고 있다.

 

 

* 교통편

열차 편으로 동대구역에 내리면 인근 파티마병원 좌측맞은 편에서 동화사지구로 가는 급행 "팔공1"번 버스를 탄다.

배차 시간을 구분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수시로 운행한다. 동화사지구 버스정류장에 하차한 후 들머리인 수태골휴게소까지

는 걸어서 10분 거리. 산행 후에는 동화사지구에서 급행1번 버스를 타고 동대구역으로 가면 된다.